전화기에 우물정자랑 별표 왜 있을까?
페이지 정보

본문
전화기의 숫자 패드에 있는 **'우물정자(#)'와 '별표(*)'**는 단순한 기호가 아니라, 전화 시스템과 통신 서비스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 문자입니다. 이 두 기호는 전화기의 발명 초기부터 디지털 통신 시대로 넘어오면서 그 용도가 더욱 확장되었습니다.
1. 톤 다이얼링 (DTMF)의 일부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이 두 기호가 전화기의 톤 다이얼링(DTMF, Dual-Tone Multi-Frequency)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DTMF란? 예전의 다이얼식 전화기는 회전판을 돌려 숫자를 입력하면 그 횟수만큼 전기 펄스를 보내 교환기와 통신했습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등장한 버튼식 전화기(푸시버튼 전화기)는 각 버튼을 누를 때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톤)를 동시에 발생시켜 이를 신호로 보냅니다. 예를 들어, '1' 버튼은 특정 저주파와 고주파의 조합을 발생시킵니다.
추가적인 신호: 숫자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 외에, 통화 중 메뉴 선택이나 서비스 제어를 위해 추가적인 신호가 필요했고, 이 역할을 할 기호로 우물정자(#)와 별표(*)가 채택되었습니다. 이 기호들 역시 각각 고유한 두 개의 주파수 조합을 가집니다.
키패드 확장: 초기 전화기 모델에는 숫자만 있었지만,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우물정자와 별표가 숫자 키패드의 표준 구성 요소가 되었습니다.
2.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 제어
우물정자(#)와 별표(*)는 단순한 번호 입력 외에 다양한 통신 서비스와 전화기 기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별표 (*)
특수 기능 활성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발신자 표시 제한(익명 전화), 착신 전환, 통화 연결음 설정 등 특정 서비스의 시작 코드로 활용될 때가 많습니다.
음성 안내 시스템(ARS/IVR) 탐색: 은행, 카드사, 고객센터 등 ARS 시스템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 + 숫자' 조합을 누르도록 안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밀번호 또는 코드 입력: 일부 보안 시스템이나 서비스에서 비밀번호 또는 특정 코드를 입력한 후 마지막에 '*'를 눌러 입력을 완료하도록 설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우물정자 (#)
입력 완료 및 확인: ARS 시스템에서 번호 입력이 끝났음을 알리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확인 또는 종료 코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민등록번호를 누르시고 우물정자를 눌러주세요"와 같은 안내가 대표적입니다.
단축 다이얼 설정/해제: 일부 전화기나 통신 서비스에서 단축 다이얼 번호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정 기능 해제/취소: '*'가 기능을 활성화하는 시작 코드라면, '#'는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취소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음성 사서함 접근: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입력 후 '#'을 눌러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현대 통신에서의 역할
스마트폰 시대에 들어서면서 버튼식 전화기의 물리적 키패드 사용 빈도는 줄었지만, 우물정자와 별표의 기능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가상 키패드: 스마트폰의 전화 앱에서 다이얼 패드를 열면 여전히 숫자와 함께 우물정자, 별표가 존재합니다. 이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과 부가 서비스들이 여전히 이 두 기호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SD 코드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스마트폰에서 통신사 서비스(예: 잔여 데이터 확인, 요금 조회, 부가 서비스 신청 등)를 이용할 때 '*123#'과 같은 형태로 특정 코드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USSD 코드인데, 이 코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사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때 별표와 우물정자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결론
전화기에 우물정자(#)와 별표(*)가 있는 이유는 단순히 멋을 내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 두 기호는 전화 통신의 근간이 되는 톤 다이얼링 시스템의 필수 요소이자,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전화기 기능을 제어하고 ARS 시스템을 탐색하며 USSD 코드를 통해 통신사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 목적의 코드이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통신 시대에도 여전히 그 중요성을 잃지 않고 우리의 통신 생활을 편리하게 돕고 있는 핵심적인 문자들입니다.
1. 톤 다이얼링 (DTMF)의 일부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이 두 기호가 전화기의 톤 다이얼링(DTMF, Dual-Tone Multi-Frequency)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DTMF란? 예전의 다이얼식 전화기는 회전판을 돌려 숫자를 입력하면 그 횟수만큼 전기 펄스를 보내 교환기와 통신했습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등장한 버튼식 전화기(푸시버튼 전화기)는 각 버튼을 누를 때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톤)를 동시에 발생시켜 이를 신호로 보냅니다. 예를 들어, '1' 버튼은 특정 저주파와 고주파의 조합을 발생시킵니다.
추가적인 신호: 숫자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 외에, 통화 중 메뉴 선택이나 서비스 제어를 위해 추가적인 신호가 필요했고, 이 역할을 할 기호로 우물정자(#)와 별표(*)가 채택되었습니다. 이 기호들 역시 각각 고유한 두 개의 주파수 조합을 가집니다.
키패드 확장: 초기 전화기 모델에는 숫자만 있었지만,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우물정자와 별표가 숫자 키패드의 표준 구성 요소가 되었습니다.
2.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 제어
우물정자(#)와 별표(*)는 단순한 번호 입력 외에 다양한 통신 서비스와 전화기 기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별표 (*)
특수 기능 활성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발신자 표시 제한(익명 전화), 착신 전환, 통화 연결음 설정 등 특정 서비스의 시작 코드로 활용될 때가 많습니다.
음성 안내 시스템(ARS/IVR) 탐색: 은행, 카드사, 고객센터 등 ARS 시스템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 + 숫자' 조합을 누르도록 안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밀번호 또는 코드 입력: 일부 보안 시스템이나 서비스에서 비밀번호 또는 특정 코드를 입력한 후 마지막에 '*'를 눌러 입력을 완료하도록 설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우물정자 (#)
입력 완료 및 확인: ARS 시스템에서 번호 입력이 끝났음을 알리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확인 또는 종료 코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민등록번호를 누르시고 우물정자를 눌러주세요"와 같은 안내가 대표적입니다.
단축 다이얼 설정/해제: 일부 전화기나 통신 서비스에서 단축 다이얼 번호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정 기능 해제/취소: '*'가 기능을 활성화하는 시작 코드라면, '#'는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취소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음성 사서함 접근: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입력 후 '#'을 눌러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현대 통신에서의 역할
스마트폰 시대에 들어서면서 버튼식 전화기의 물리적 키패드 사용 빈도는 줄었지만, 우물정자와 별표의 기능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가상 키패드: 스마트폰의 전화 앱에서 다이얼 패드를 열면 여전히 숫자와 함께 우물정자, 별표가 존재합니다. 이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과 부가 서비스들이 여전히 이 두 기호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USSD 코드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스마트폰에서 통신사 서비스(예: 잔여 데이터 확인, 요금 조회, 부가 서비스 신청 등)를 이용할 때 '*123#'과 같은 형태로 특정 코드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USSD 코드인데, 이 코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사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때 별표와 우물정자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결론
전화기에 우물정자(#)와 별표(*)가 있는 이유는 단순히 멋을 내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 두 기호는 전화 통신의 근간이 되는 톤 다이얼링 시스템의 필수 요소이자,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전화기 기능을 제어하고 ARS 시스템을 탐색하며 USSD 코드를 통해 통신사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 목적의 코드이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통신 시대에도 여전히 그 중요성을 잃지 않고 우리의 통신 생활을 편리하게 돕고 있는 핵심적인 문자들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