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동안 안보기

자유의지

보도블럭 대참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티모스
댓글 0건 조회 76회 작성일 25-05-22 14:56

본문

보도블럭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도로변이나 공원, 광장 등에 깔아 놓는 블럭 형태의 포장재를 말합니다. 미관을 개선하고 보행 편의성을 높이는 중요한 도시 시설물입니다.

1. 보도블럭의 종류 및 특징
보도블럭은 재질, 형태,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뉩니다.

1.1. 재질별 분류
콘크리트 블럭 (인조화강석 블럭):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됩니다.
다양한 색상과 문양으로 디자인 연출이 용이합니다.
생산 단가가 비교적 저렴하고 내구성이 좋습니다.
투수 기능: 빗물이 블럭을 통과하여 지표면으로 스며들게 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도 많습니다. 이는 도시의 물 순환을 돕고, 지하수 고갈을 예방하며, 빗물 고임을 줄여 보행 환경을 쾌적하게 합니다.
불투수성: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럭은 빗물을 통과시키지 않아 별도의 배수 시설이 필요합니다.
점토 블럭 (소성 블럭):
점토를 고온에서 구워 만들어 색상이 자연스럽고 변색이 적습니다.
친환경적이며,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좋습니다.
강도가 좋고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논슬립 기능: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된 제품도 있어 비나 눈이 올 때 보행 안전성을 높입니다.
자연석 블럭 (화강석, 현무암 등):
천연 화강암이나 현무암 등을 가공하여 만듭니다.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운 질감을 자랑하며, 내구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초기 설치 비용이 높습니다.
부정형 블럭: 자연석의 형태를 그대로 살린 부정형 블럭은 자연스러운 경관을 연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무 블럭:
탄성이 있어 보행 충격을 흡수하고 미끄럼 방지 효과가 뛰어납니다.
어린이 놀이터, 공원 등 안전성이 요구되는 곳에 주로 사용됩니다.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변색될 수 있습니다.
1.2. 형태별 분류
I형 블럭 (직선형): 포장 비용이 저렴하고 다양한 색상과 패턴 적용이 가능하여 미적 경관 연출에 좋습니다.
U형 블럭 (지그재그형/인터록킹 블럭): 블럭 간 맞물림이 강하여 포장면의 뒤틀림이나 지반 침하에 강합니다.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정사각형/직사각형 블럭: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다양한 크기와 색상으로 조합하여 시공합니다.
점자 블럭: 시각 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돕기 위해 설치됩니다.
점형 블럭: 일시 정지, 방향 전환, 위험 지역 경고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선형 블럭: 보행 방향을 안내합니다.
주로 노란색으로 제작되어 시각적으로도 눈에 띄게 합니다.
1.3. 기능별 분류
투수 블럭: 빗물이 블럭을 통과하여 땅속으로 스며들게 하는 친환경 블럭입니다. 빗물 유출을 줄이고 지하수 함양에 기여합니다.
불투수 블럭: 빗물이 블럭을 통과하지 못하고 표면으로 흐르게 하는 일반적인 블럭입니다.
미끄럼 방지 블럭 (논슬립): 표면에 요철이나 특수 코팅을 하여 미끄럼 저항성을 높인 블럭입니다.
2. 보도블럭의 문제점 및 개선 노력
보도블럭은 도시 미관과 보행 환경에 필수적이지만, 관리 소홀이나 부실 시공 등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합니다.

2.1. 문제점
들뜸 및 침하: 지반의 다짐 불량, 지하 매설물 공사, 우수 유입 등으로 인해 블럭이 들뜨거나 침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합니다. (특히 겨울철 동파 등으로 인한 문제 발생)
잦은 교체 논란: 일부 지자체에서 예산 소진 목적으로 멀쩡한 보도블럭을 불필요하게 교체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곤 합니다. (실제로는 노후화나 지하 매설물 공사 후 복구 과정에서 교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안전사고 유발: 파손, 마모, 불규칙한 높이 등으로 인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점자블럭의 파손은 시각 장애인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합니다.
미관 저해: 색상 불일치, 잡초 발생, 오염 등으로 인해 도시 미관을 해치기도 합니다.
배수 불량: 불투수성 블럭이나 배수 시설 미흡으로 인해 비가 올 때 물웅덩이가 생겨 보행에 불편을 줍니다.
2.2. 개선 노력 및 관리 지침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교체 주기 지침: 국토교통부의 '보도 설치 및 관리지침'에서는 보도블럭의 교체 시기를 권장 10년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분별한 교체를 막고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다만, 긴급 보수나 지하 매설물 공사 등 즉시 필요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품질 기준 강화: 내구성, 투수성, 미끄럼 저항성 등 보도블럭의 품질 기준을 강화하여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시공 기술 개선: 지반 다짐 기술, 배수 시스템 설계 등을 개선하여 블럭의 들뜸이나 침하를 최소화합니다.
친환경 및 기능성 블럭 도입: 투수 블럭, 미끄럼 방지 블럭 등 기능성 블럭의 사용을 확대하여 보행 환경을 개선합니다.
점자블럭 관리 강화: 시각 장애인의 안전을 위해 점자블럭의 파손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즉시 보수하도록 관리 규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민 신고 활성화: 시민들이 보도블럭 파손 등 위험 요소를 발견했을 때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안전신문고 등)을 운영하여 신속한 보수를 유도합니다.
보도블럭은 도시의 보행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적절한 유지 보수와 관리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지속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건 1 페이지
자유의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0
다이손 06-16 43
다이손 43 06-16
9
다이손 06-02 65
다이손 65 06-02
8
다이손 06-02 68
다이손 68 06-02
7
티모스 05-22 75
티모스 75 05-22
6
티모스 05-22 76
티모스 76 05-22
5
티모스 05-22 75
티모스 75 05-22
4
티모스 05-22 72
티모스 72 05-22
열람중
티모스 05-22 77
티모스 77 05-22
2
티모스 05-22 75
티모스 75 05-22
1
티모스 05-22 71
티모스 71 05-22

검색

회원 로그인

포인트랭킹

1 다이손 590점
2 데리끼 204점
3 수정이 125점
4 똥별 105점
5 메직쿠 100점

검색랭킹

1 영화 1
2 커브 8
3 과소
4 닥터 3
5 만화 1
6 보험 1
7 얼굴 2
8 여행 2
9 유머 2
10 인간극장 2

접속자집계

오늘
51
어제
33
최대
100
전체
2,088